23.09.05
- 시간 문제로 TCP/IP 요약 후 방화벽 정리
- 클라이언트 <-> 서버 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면 서버에서 반응해주는 것
- 프로토콜(약속) : 명령어 구성/키워드 등이 약속되어 있고, 이 형태에 맞춰 통신하는 것을 의미
- 이 메일은 SMTP(Simple Message Transfer Protocal), 받을때는 POP3라는 프로토콜을 사용
- 파일 전송은 FTP(File Transfer Protocal)
- HTTP 200(통신 성공), 403(접근 권한 없음), 404(페이지 없음) 등등이 통신규약
- Ajax : 비동기 통신(일정 부분만 통신이 가능). 원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 통신을 하게되면 전체 다 통신(동기통신)
- 동기 : 동기함수는 function()이 모두 실행되고 나서 다음으로 넘어감 / 비동기는 특정 함수가 실행되면 다음으로 넘어감(절차적으로 기다리지 않음)
- 쿠키와 세션
- 쿠키 : 클라이언트 특정 위치 특정 공간에 저장(의미 그대로 구워짐, 파일로!) 윈도우에 쿠키 삭제 메뉴 존재
- 세션 : 이런 쿠키들이 서버에 저장되는 것 / web이나 was 수준에서 저장 / 세션이 날라갔다는건 서버에서 지워진것을 의미함
- VOIP(Voice Over IP) : 보이스톡에서 쓰는 기술 / IP에 보이스를 씌운 기술(음성을 데이터화해서 IP로 보내고, 이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)
- TCP : 정확한 데이터 전달(무손실) / UDP : 데이터의 손실이 있어도 전달(스트리밍 데이터)
- Port : 포트 주소(항구로 이해하면 쉬움, IP 주소는 국가 / 포트는 항구) / 즉 한국이라는 IP주소로 찾아와 인천항 or 부산항 이라는 포트주소로 들어가는 것!
- IP 주소는 O.O.O.O 형태인데, 일반적 주소(www.naver.com)은 인식을 못해 DNS(Domain Name System)에 접속해 IP를 받는 형식
- 데이터를 주는게 TCP / 주소를 찾는게 IP, 합쳐서 TCP/IP
- 라우팅은 IP 주소를 찾아가는 행위 / 라우터는 라우팅을 하는 기계
- NAT 서버 : Nerwork Address Translation - 각 개별 서버별로 Private IP가 존재(보안) / 이를 Public IP로 전환
- HTTP / HTTPS : s는 secure로 암호화한다는 의미(즉, HTTP로 전송시 암호화 되서 전송된다는 의미)
- 전자서명 :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 / 전자 인증 : 사용자의 인증
4) 방화벽 (0) | 2023.09.11 |
---|---|
2) 네트워크 인터넷 개념 및 동작 원리 (0) | 2023.09.04 |
1) Network 데이터 단위 정리 (0) | 2023.08.31 |
댓글 영역